학술회의

  • 2021 제18회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 자료집_404.jpg

    2021 제18회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 천도굿, 산자와 망자에 대한 위로

    • 2021 제18회 학술회의 천도굿, 산자와 망자에 대한 위로

      ㅇ 죽음의식 속에서 망자와 산자의 위로와 음악적 표현 방식

      ㅇ 동해안지역 오구굿에서 모신 신령의 성격과 의미

      ㅇ 망자천도굿의 뜻

      ㅇ 상례굿의 총체성과 호모 밤따래쿠스

      ㅇ 전북 시끔굿 무가(巫歌)의 구성과 의미

      ㅇ 발표자, 토론자 소개 

       

  • 2020 굿음악축제 학술자료집[표지-최종]_1_용량변환.jpg

    2020 제17회 학술회의 포용적 예술로서의 풍어제

    • 2020 제17회 학술회의 포용적 예술로서의 풍어제

      ㅇ 동해안 풍어제의 원형미학적 연구「동해안 풍어제의 원형미학적 연구」에 대한 토론문

      ㅇ 서해안 지역 풍어의 상징 '봉죽'의 포용적 가치: 일상에서의 봉죽의 쇠퇴와 의례적 상징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「서해안 지역 풍어의 상징 '봉죽'의 포용적 가치」에 대한 토론문

      ㅇ 서해안 배연신굿의 음악미학「서해안 배연신굿의 음악미학」에 대한 토론문

      ㅇ 동해안 굿 장단의 구현 원리와 응용에 관한 연구: 푸너리·드러갱이·굿거리를 중심으로「동해안 굿 장단의 구현 원리와 응용에 관한 연구」에 대한 토론문

      ㅇ 동해안 풍어제의 변화「동해안 풍어제의 변화」에 대한 토론문 

  • 2019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2.jpg

    2019 제16회 학술회의 풍물굿의 제의성

    • <풍물굿의 제의성: 2019.6.28.(금) ~ 6.29.(토)>

      ㅇ 풍물굿 가락의 제의성

      ㅇ 풍물굿 중심 마을굿의 양식적 특정

      ㅇ 농악의 제의적 위상과 사제권 고찰

      ㅇ 유랑연희를 통해 본 풍물굿의 전개양상

      ㅇ 경기 남부 걸립의 전통과 의례

       

  • 2018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2.jpg

    2018 제15회 학술회의 놀이굿, 공동체 화합과 기원의 전통

    • <놀이굿, 공동체 화합과 기원의 전통: 2018.10.12.(금) ~ 10.13.(토)>

      ㅇ 이천거북놀이 기원의식의 전통과 변화

      ㅇ 놀이굿의 범주와 화합 원리

      ㅇ 전통사회 자인단오제를 통해서 본 공동체문화 의식

      ㅇ 경산자인단오제의 전승 양상과 보전 방안

      ㅇ 경기도 거북놀이를 통해 본 놀이굿의 특징과 그 기능

      ㅇ 동해안별신굿 굿놀이의 변화양상과 요인

       

  • 2017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2.jpg

    2017 제14회 학술회의 팔도 굿 예인의 삶과 음악

    • <팔도 굿 예인의 삶과 음악: 2017.6.23.(금) ~ 6.24.(토)>

      ㅇ 전남 무속예인의 삶과 음악

      ㅇ 내포제와 저산팔읍의 굿 예인의 삶 소묘와 음악 세계

      ㅇ 동해안 송동숙의 삶과 예술

      ㅇ 제주 큰심방 안사인 무가의 음악적 특징

      ㅇ 황해굿 만신 전대주의 굿과 음악

      ㅇ 서울굿 음악의 전승과 학습
      ㅇ 지영희 무속장단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
      ㅇ 무속학회 48차 학술회의 '팔도 굿 예인의 삶과 음악' 종합토론문
      ㅇ '팔도 굿 예인의 삶과 음악'에 대한 종합토론
      ㅇ '팔도 굿 예인의 삶과 음악'에 대한 토론문

       

  • 2016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2.jpg

    2016 제13회 학술회의 남도 굿음악 발굴 10년, 그 성과와 과제

    • <남도 굿음악 발굴 10년, 그 성과와 과제: 2016.6.24.(금) ~ 6.25.(토)>

      ㅇ 남도 굿 음악의 과거와 현재

      ㅇ 남도 굿 10년 기록 및 공연화에 대한 검토

      ㅇ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의 성과와 과제

      ㅇ 남도 굿음악 축제화 방안

      ㅇ 남도 굿의 전승현황과 실태

      ㅇ 씻김굿 음악의 변화와 연구 방향의 재설정
      ㅇ 남도 굿음악 연구의 새로운 시선

       

  • 2015 국립남도국악원 학술회의2.jpg

    2015 제12회 학술회의 남도굿을 통한 세계와의 소통과 비전

    • <남도굿을 통한 세계와의 소통과 비전: 2015.6.26.(금) ~ 6.27.(토)>

      ㅇ 무속음악의 비교연구를 위한 제안

      ㅇ 세계에서 바라보는 한국 굿음악의 현 위치와 전망

      ㅇ 남도 굿음악의 발굴과 세계로의 소통

      ㅇ 전라도굿의 다양성에 대한 재인식: 발굴 및 새 자료의 중요성

      ㅇ 진도씻김굿의 미래를 향한 전략적 사고

      ㅇ 씻김과 진도 민속의 내면, 보존과 수요의 경계에서
      ㅇ 진도씻김굿의 미발굴 음원 및 영상자료 개관과 세계적 소통을 위한 활용방법 모색
      ㅇ 영암성주굿의 정화점 예인

  • 4d0cc6d0.jpg

    2014 제11회 학술회의 남도굿, 삼현육각과 예인을 만나다

    • <남도굿, 삼현육각과 예인을 만나다: 2014.6.28.(토) ~ 6.29.(일)>

       

       

      ㅇ 삼현육각의 생성과 무의식에서 기능에 대한 고찰

      ㅇ 화순 능주씻김굿의 삼현육각 악곡 활용 양상과 음악문화권적 정체성

      ㅇ 서울새남굿과 삼현육각 음악의 전승양상

      ㅇ 전라도굿의 예인과 삼현육각

      ㅇ 화순의 음악문화와 예인

      ㅇ 전라도 서사무가의 음악적연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