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서

  • 표지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총서 26

    • 국립남도국악원총서 26

      굿음악연구 성과 및 전승 양상

       

      ㅇ 발간사

      1. 재수굿의 절차 및 전승 양상

      2. 부천 성주굿의 음악적 특징- 성주거리 연행을 중심으로 -

      3. 전라도 재수굿 음악의 특징

      4. 굿음악 연구, 그 성과와 전망

      5. 우리나라 굿의 전승 양상

      ㅇ 지은이 소개

       

  • 국립남도국악원총서25-표지-최종본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총서 25

    • 국립남도국악원총서 25

      단오굿

       

      ㅇ 발간사

      1. 단오굿의 역사와 전승상황-강릉, 경산자인, 법성포 단오제를 중심으로

      2. 단오굿 음악의 지역적 양상

      3. 강릉단오굿 무악의 특징

      4. 법성포단오굿 음악의 특징

      5. 경산자인단오굿 음악의 특징

      ㅇ 지은지 소개

       

  • 국립남도국악원총서 24-표지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 총서 24

    • 국립남도국악원총서 24-북녘의 굿과 음악

       

      ㅇ 발간사
       

      1. 북한지역 굿 음악 비교 연구
       

      2. 함경도 망묵굿 중 망령굿의 기능과 음악적 구성
       

      3. 만수대탁굿, 만구대탁굿
       

      - 황해도굿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본 두 굿의 의미 차이 -
       

      4. 평안도 굿 자료의 재발견과 의미
       

      5. 평양굿 덕담무가를 통해 본 굿음악의 적응과 지속
       

      ㅇ 지은이 소개

       

  • 표지-누리집게시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총서23


    • 국립남도국악원총서23

      천도굿, 산자와 망자에 대한 위로


      ㅇ 발간사

      ㅇ 논문편
      1. 죽음의식 속에서 망자와 산자의 위로와 음악적 표현 방식 
      2. 동해안지역 오구굿에서 모신 신령의 성격과 의미 
      3. 망자천도굿의 뜻 
      4. 상례굿의 총체성과 호모 밤따래쿠스
      5. 전북 시끔굿 무가(巫歌)의 구성과 의미

      ㅇ 구술대담편
      1. 천도굿 명인에게 듣는 무형문화유산의 현장과 역사
      2. 진도다시래기 '박광순'
      3. 부산기장오구굿 '김동언'
      4. 진도씻김굿 '박병원'
      5. 진도만가 '김기선'

      ㅇ 지은이와 대담자 소개

  • 총서 22 - 남도민요 삶을 노래하다 표지.pdf_page_1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 총서22

  • 총서21 남도민요 경개를 노래하다_표지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총서21

    •  

      남도민요, 경개景槪를 노래하다! 

      1. 채보기준 

      2. 악보

      1) 금강산타령

      2) 남원산성
      3) 달맞이
      4) 동백타령
      5) 봄타령
      6) 새타령
      7) 사철가
      8) 신사철가
      9) 팔월가
      10) 휘여능청 

       

  • 제목 없음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총서20

    • 남도민요, 악기로 노래하다!

      1. 곡목구성배경

      2. 곡목소개 및 채보기준

      3. 악보

      1) 뱃노래·신뱃노래 총보

      2) 금강산타령·동백타령 총보

      3) 육자배기 총보

      4) 남도굿거리·성주풀이 총보



  • f0244931.jpg

    국립남도국악원총서19

    • 경기풍류와 남도가락

      1.굿풍류

      2.호적풍류

      3.현악산조

      4.신뱃노래